핸드드립 커피의 특징은 필터에 지방이 걸러져 깔끔하고 깨끗한 맛이 난다는 것. 그래서 필터지를 사용하지 않는 커피에 비해 몸에 좋다는 얘기도 있다.
요새는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 같이 에스프레소머신 이외의 기구로 만든 커피를 맛볼 수 있는 곳이 보급화되어 핸드드립 커피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나는 핸드드립 바리스타 강의를 들을 당시 핸드드립 커피에 대한 이론을 접했었다. 그 전까지는 카페에서 싱글오리진으로 핸드드립을 파는 것만 봐서 핸드드립 커피는 비싸고, 접하기 어렵다고 생각했었는데 강의를 들어보니 집에서도 내리기 쉬워 집에서는 핸드드립 커피를 내려서 먹고있다.(또는 모카포트나 프렌치프레스)

핸드드립 커피를 내리기 위해서 먼저 드리퍼에 필터와 분쇄 원두를 준비한다. 원두는 커피를 내리기 직전에 분쇄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처음 방문하는 카페를 갔을 때 주문 후에 그라인딩하는 소리가 들리면 어느 정도 카페 선택에 성공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원두 분쇄 정도는 커피 추출기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라인더 마다의 분쇄 정도와 추출기구의 특성에 따라 버튼을 확인하고 그라인딩하도록 한다. 물의 온도는 82~6도가 적당하다.
1차 추출은 원두 뜸들이기로 시작한다. 원두의 중앙부터 천천히 원을 그리며 바깥쪽으로 점차 큰 원을 그리며 물을 붓는다. 신선한 원두일 경우 물이 닿으면 탄산가스를 뿜으며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다. 1차 추출시에는 필터에 물이 닿지 않도록 중앙쪽만 뜸을 들인다. 중앙쪽만 먼저 뜸을 들이는 이유는 드리퍼와 필터가 깔대기 모양이기에 중앙부분의 원두가 깊게 쌓여있기 때문이다.
20~30초 후에 부푼 것이 가라앉았을 때 2차 추출을 시작한다. 중앙부는 천천히 바깥쪽은 그보다 빠르게 원을 그리며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3차 추출을 진행한다. 이때 직접적으로 필터부분에 물을 붓지는 않고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한다. 마지막 4차 추출부터는 큰 의미는 없고 편하게 물을 부으면 된다. 커피의 농도와 양을 맞추는 단계이기에 취향에 따라 커피의 농도를 맞춰 물을 더 붓도록 한다.
전체 추출 시간이 길어도 3분이 넘진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커피가 물에 젖은 이후로 그 이상의 시간이 지나면 더이상 신선한 산미가 추출되지 않고, 탄맛이 뿜어져나오기 때문이다. 이 시간은 추출 기구에 따른 분쇄 정도에 따라 다르다. 입자가 굵을수록 추출 시간이 더 길다. 참고로 프렌치프레스는 핸드드립보다 입자가 크기에 추출 시간이 총 4분이다. 반면에 에스프레소는 매우 고운 입자로 고압에서 빠르게 추출한다. 그리고 입자의 크기는 마시는 시간과도 관련이 있는데 추출 시간이 짧은 기구로 내린 커피일수록 빠르게 마시는 것이 좋다. 이태리에서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내린 에스프레소를 바에 서서 후루룩 마시고 가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일상취미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도날드 맥모닝 굿모닝 맥모닝 투 유 (0) | 2020.07.24 |
---|---|
내가 생각하는 뷰티 팁 (0) | 2020.07.23 |
스타벅스 별 적립? (0) | 2020.07.21 |
스타벅스 할인 팁 (0) | 2020.07.20 |
제주도 지미봉(지미오름) (0) | 2020.07.19 |
댓글